티스토리 뷰

기생충

영화 <기생충> 줄거리와 정보

영화 기생충 보셨나요? 저는 개봉하자마자 봤었는데 너무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영화 <기생충>은 2019년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작품으로, 수많은 수상 경력을 거둔 대한민국 대표 블랙코미디 영화입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만한 주제이기도 하고 봉준호 감독 특유의 블랙코미디 요소들이 곳곳에 있어서 보는 내내 지루할 틈이 없었어요.개인적으로 봉준호 감독의 영화들을 좋아하는데요, 일단 스토리 자체가 신선해서 좋아요. 그리고 사회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위트있는 연출과 대사 덕분에 관객에게 웃음을 주는 포인트가 많아서 지루하지 않아요. 예를 들면 설국열차에서도 그렇고 괴물에서도 송강호씨가 연기한 캐릭터는 항상 뭔가 나사가 빠진듯한 느낌이죠. 하지만 그런 모습이 오히려 현실감있고 몰입하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고 생각해요. <기생충>이라는 제목의 의미는 주인공 가족 중 한명이 부잣집에 기생하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 영화이기 때문에 이렇게 지은 것 같아요. 실제로 극중 박사장네 아들 다송이는 자신을 '반지하'라고 표현하는데 반지하라는 단어 역시 빈부격차를 나타내는 은유적인 표현이라 인상깊었어요.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원백수로 살 길 막막하지만 사이는 좋은 기택(송강호) 가족. 장남 기우(최우식)에게 명문대생 친구가 연결시켜 준 고액 과외 자리는 모처럼 싹튼 고정수입의 희망이다. 온 가족의 도움과 기대 속에 박사장(이선균) 집으로 향하는 기우. 글로벌 IT기업 CEO인 박사장의 저택에 도착하자 젊고 아름다운 사모님 연교(조여정)가 기우를 맞이한다. 그러나 이렇게 시작된 두 가족의 만남 뒤로, 걷잡을 수 없는 사건이 기다리고 있었으니...

영화 속 의미들

계획 : 계획없이 살아가는것 처럼 보이는 기택이네 가족에게도 나름대로의 계획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돈을 많이 벌어서 저택을 사겠다는 꿈이었는데요. 비록 현실은 반지하방이었지만 언젠가는 높은곳으로 올라가리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었죠. 마치 오늘날 대한민국 청년들의 모습과도 닮아있다고 느껴졌습니다. 취업난 등 여러가지 문제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언젠가 밝은 미래가 올거라고 믿고 열심히 살아가고 있잖아요. 이러한 점을 빗대어 표현한 것입니다. 바퀴벌레 : 방안의 바퀴벌레 씬은 많은 관객분들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는데요. 어떻게보면 징그럽고 더럽다고 느낄 수 있는 벌레지만 어찌보면 인간보다도 훨씬 오래전부터 지구에 존재해온 생명체잖아요.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에서는 혐오스럽게 느껴지는 대상이 되버렸네요. 어쨌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바퀴벌레인줄 알았던 건 알고보니 곱등이였고, 이것은 빈부격차와도 연관되어 있다고 보여집니다. 왜냐하면 주인공 기택역시 원래는 평범한 회사원이었으나 사업실패로 인해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졌거든요. 모스부호 :극중 송강호씨가 이선균씨에게 보내는 모스부호 신호 아시나요? 모르신다면 지금 당장 핸드폰 불빛을 켜서 손가락으로 그려보세요. 아주 간단하게 그릴 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왜 하필이면 알파벳 모스부호였을까요? 그건 바로 극중 인물간의 계층차이를 나타내기 위해서였다고 하네요. 위에서부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인데요. 이걸 거꾸로 하면 (N,O,P,Q,R,S,T,U,V,W,X,Y,Z) 즉, 부자=상류층 / 서민=하류층 이라는 뜻이랍니다.

총평

우리나라 사회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영화라 그런지 더욱 몰입감있게 봤던 것 같아요. <기생충>을 본 후에는 빈부격차와 가족의 관계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또한, 이 영화는 전반적으로 긴장감이 유지되는 작품으로서, 이야기의 전개와 연출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영화는 미스터리한 분위기와 함께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본 후에는 생각이 많아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란건 참 무섭구나 라는걸 느끼고, 그리고 내가 지금 누리고 있는것들이 누군가에게는 간절한 꿈이었을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그래서 더욱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뛰어난 작품이 나오다니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특히나 빈부격차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있는 영화였는데요, 시간 나실때 꼭 한번 보시길 추천드려요!